추천검색어 :  성소수자  퀴어  LGBT  커밍아웃  인권
화면확대하기 화면축소하기 프린트하기
페이스북에 공유하기 트위터에 공유하기 카카오스토리에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에 공유하기

찾아보기

찾아보기

  • 입수경로(수집)  퀴어락
  • 사용언어  한국어
검색결과 : 2081건 검색

제목| 대중문화에 나타난 스타이미지의 퀴어코드 연구: 마돈나와 레이디 가가의 스타일 중심으로

설명|최근 세계 대중들은 공간의 장벽이 없어지고 있는데 이는 전자미디어의 발달로 모두 동일한 이미지에 노출되기 때문이며 이에 이미지가 세계문화를 동질화 시키고 있다. 최근 전자미디어의 발달로 세계 대중들은 공간의 장벽이 없어지고 있으며, 동일한 이미지에 노출되어 세계문화의 동질화가 진행되고 있다. 이에 전자미디어에 살아있는 정보전달 및 문화전파의 매개체 역할을…

식별번호|TH-0000127

저자|박영진

발행년도|2014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논문

입수경로|수집(퀴어락)

  • 한국어
  • 퀴어락

제목| 지넷 윈터슨의 글쓰기의 정치학: [체리나무 접붙이기]에 나타난 역사, 젠더, 몸의 유희

설명|영국의 여성 작가인 지넷 윈터슨(Jeanette Winterson, 1959- )의 작품은 항상 사랑과 그것의 다양한 형태들에 대해 이야기한다. 구체적으로 그녀는 여성의 다양한 섹슈얼리티와 이를 통제하려는 가부장제, 이성애 제도간의 관계를 탐구하고, 이들이 부여하는 억압적 젠더 규범으로부터 효과적으로 탈출할 수 있는 역사적, 문학적, 문화적 장치들을…

식별번호|TH-0000126

저자|박남순

발행년도|2004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논문

입수경로|수집(퀴어락)

  • 한국어
  • 퀴어락

제목| 전후 시기 미국 동성애자들의 동성애 정체성 형성: 잡지 [원]의 편지들을 중심으로, 1953-1965

설명|1950년대에 미국 사회의 호모포비아는 조직적으로 체계화, 일상화 되어 많은 동성애자들을 혼란과 공포, 슬픔, 외로움으로 몰아 넣었다. 이에 좌절했던 많은 동성애자들은 스스로의 동성애 정체성을 저주하면서 하루하루 힘겨운 삶을 이어갈 수 밖에 없었다. 본 연구는 1950-60년대의 이 슬픈 게이들이 어떻게 자신들의 동성애 정체성을 받아들여 1950년대와…

식별번호|TH-0000125

저자|문동성

발행년도|2012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논문

입수경로|수집(퀴어락)

  • 한국어
  • 퀴어락

제목| 남녀 동성애자의 내면화된 성적 낙인 척도 타당화 연구

설명|내면화된 성적 낙인이란, 성소수자가 사회의 성소수자에 대한 편견, 부정적 태도 등을 자기(self)에게 적용하는 것을 말한다(Shidlo, 1994; Herek, 2004). 1970년대에 처음 대두된 이후, 이는 동성애자들의 정신건강 관련 연구들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해왔다. 본 연구는 동성애자의 내면화된 성적 낙인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를 마련하기 위하여 Lingiardi, Baiocco, & Nardelli(2012)가 개발한 내면화된 성적 낙인 척도(Measure of Internalized…; MISS-LG)를 한국 동성애자 인구를 대상으로 타당화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총 314명이었으며 이 중 남성이 162명, 여성이 152명이었다. 설문에는 준거관련타당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유사한 구성개념을 측정하는 내면화된 동성애혐오 척도(Internalized Homophobia Scale; IHP scale) 및 정신건강 관련 변인에 대한 측정 도구인 한국판 역학연구센터 우울척도(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Scale; CES-D), 한국판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척도(Korean Social Interaction Anxiety Scale; K-SIAS), 단축형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척도(Brief Fear of Negative Evaluation Scale; BFNE) 등이 포함되었다. 또한 선행연구를 통하여 내면화된 성적 낙인과 관계가 있다고 알려진 행동적 양상을 측정하기 위하여 차별경험질문지(The Schedule of Heterosexist Events; SHE), 성소수자 낙인의식 질문지 (The Stigma Consciousness for Gay Men and Lesbians Questionnaire; SCQ), 드러내기 척도(The Outness Inventory; OI)등이 실시되었다.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남성은 사회적 불편감 및 정체성의 2요인, 여성은 사회적 불편감, 정체성, 섹슈얼리티의 3요인 모형이 지지되었다. 남녀 모두에서 K-MISS-LG와 IHP간 높은 상관이 나타났으며 K-MISS-LG와 우울, 사회불안 등 정신건강 관련 변인과의 상관 또한 확인되었다. 또한 내면화된 성적 낙인과 낙인의식 사이에는…

식별번호|TH-0000124

저자|임민경

발행년도|2014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논문

입수경로|수집(퀴어락)

  • 한국어
  • 퀴어락

제목| 성 소수자의 파트너링 유형과 지속: 수정된 성 각본 이론을 중심으로

설명|본 논문은 12명의 성 소수자에 대한 심층 면접을 통하여, 성 파트너링을 분석하는 데 가장 자주 사용되는 성 각본 이론(Simon & Gagnon, 1986)의 한계를 수정 및 보완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국 성 소수자들의 파트너링 양상을 설명한다. 성 각본이론은 하나의 성 행동이 설명되는 데 있어 사회 전체수준에서 정의되는 ‘문화적 시나리오’, 파트너 간의…

식별번호|TH-0000123

저자|주영준

발행년도|2011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논문

입수경로|수집(퀴어락)

  • 한국어
  • 퀴어락

제목| 성 소수자(LGBQ)의 자아존중감과 스트레스에 대한 연구

설명|성소수자들도 스트레스로 인한 갈등과 여타의 심리적 문제로 정신건강 전문가를 찾을 수 있어야 하지만, 상담전문가들이 성소수자에 대한 혐오가 강하거나 이해가 부족할 경우, 심리적 부적응의 원인을 성적지향에 두고 이를 치료의 대상으로 지각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은 성소수자들이 자신의 성적 지향성을 자기 정체감을 통합하는 것을 방해하며, 심리적 고통을 증가시키게…

식별번호|TH-0000122

저자|허지선

발행년도|2015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논문

입수경로|수집(퀴어락)

  • 한국어
  • 퀴어락

제목| 동성애자들의 병영생활 적응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설명|본 연구는 동성애자로서 군에 입대한 후 병영생활에 적응하는 병사들을 대상으로 그들이 입대 전에 겪은 좌절과 고통의 경험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를 돕고, 적응 과정에서의 여러 가지 어려움과 자살 시도하기까지의 심리적 경험의 본질과 의미를 이해하는 데 목적을 가졌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심층면담을 실시하였으며 연구자들의 진술들을 분석하기 위한 절차로…

식별번호|TH-0000121

저자|허경운

발행년도|2014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논문

입수경로|수집(퀴어락)

주제|군대

  • 한국어
  • 퀴어락

제목| 노동하는 유령들: 동성애자의 노동 경험을 통해 본 성정체성에 따른 고용차별 연구

설명|본 논문은 동성애자의 가시화되지 않은 고용 차별 경험을 드러내기 위한 목적으로 쓰여 졌다. 커밍아웃하지 않으면 드러나지 않는 동성애자 정체성의 특징은 다른 소수자들보다 오랫동안 비가시적 영역 안에 남아 차별 드러내기를 거의 불가능하게 만들었다. 동성애자의 권리 등을 규정하는 그 어떤 법도 존재하지 않는다는 사실은 동성애자의 사회적 실체가 없으며 차별 또한…

식별번호|TH-0000119

저자|곽이경

발행년도|2011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논문

입수경로|수집(퀴어락)

  • 한국어
  • 퀴어락

제목| 동성애 관련 뉴스 프레임 연구: 국민일보, 조선일보, 한겨레를 중심으로

설명|이 연구는 1990년부터 2009년까지 동성애와 관련해서 국내 언론이 어떠한 보도 양상을 나타내는지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동성애와 관련된 국민일보, 한겨레, 조선일보의 신문 보도를 대상으로 시기, 기사유형, 기사논조, 1차 프레임, 2차 프레임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 기사 수(보도량)는 519건으로 1시기에 비해…

식별번호|TH-0000118

저자|한윤화

발행년도|2013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논문

입수경로|수집(퀴어락)

  • 한국어
  • 퀴어락

제목| 동성애 동거 커플의 '가족 실천'과 의미에 관한 연구

설명|가족 패러다임을 둘러싼 급격한 변화와 동성애 가시화를 배경으로, 동성애 가족은 한국 사회의 다양한 가족 양태 중 하나로 점차 주목받고 있다. 본 연구는 한국 사회에서 가족을 형성하고 실천하는 동성애자들의 경험과 행위성이 그간 충분히 드러나고 해석되지 않았다는 문제의식을 가지고, 동성애 동거 커플의 생애서사와 가족실천을 중심으로 이들이 이성애주의 사회의…

식별번호|TH-0000117

저자|한빛나

발행년도|2014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논문

입수경로|수집(퀴어락)

주제|가족구성권

  • 한국어
  • 퀴어락

제목| 1920~30년대 '변태'적 섹슈얼리티에 대한 담론연구

설명|한국의 1920~30년대는 식민지 규율권력과 의료권력, 그리고 형성 중에 있었던 자본주의적 소비시장이 서로 교차하고 상호작용하면서 근대적 개념의 '여성', '남성', 그리고 '이성애 제도'가 새롭게 만들어지는 시기였다. 이 연구에서는 당시에 '규범적 이성애'담론의 외연을 구성하였던 전형적인 인물들인 변태성욕자, 양성구유인, ‘이성복장자’, 여성…; 는 의학적 병리담론의 대상으로 포섭되었다. 이것은 ‘생식기’를 ‘남성’과 ‘여성’의 차이의 표지로 새롭게 발견해내는 과정인 동시에 이러한 차이들이 외양적 실천을 통해 ‘명백하게’ 드러나도록 강제하는 과정이기도 했다. 넷째, 이렇듯 전통적인 집단들이 새롭게 의미화되어 의학담론 안에 포섭되는 현상의 배후에는 남성과 여성간의 돌이킬 수 없는 성차를 발견하고자…

식별번호|TH-0000116

저자|차민정

발행년도|2009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논문

입수경로|수집(퀴어락)

주제|인터섹스

  • 한국어
  • 퀴어락

제목| 성소수자를 향한 한국 주류 미디어의 시선: 1990년대부터 2012년까지의 미디어 재현을 중심으로

설명|본 연구는 1990년부터 2012년 현재까지 수많은 텔레비전 프로그램에서 동성애자, 양성애자, 트랜스젠더를 지칭하는 성적 소수자가 그려지는 모습과 방식에 주목한다. 연구자는 MBC, KBS, SBS, EBS의 지상파 방송과 케이블 방송이 텔레비전 매체를 통해 방영하는 프로그램들을 성적 소수자가 자발적으로 생산해내는 퀴어 미디어의 반대 개념인 주류 미디어로…

식별번호|TH-0000115

저자|이진

발행년도|2013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논문

입수경로|수집(퀴어락)

주제|트랜스젠더퀴어; 양성애

  • 한국어
  • 퀴어락

제목| 매스미디어에 나타난 트랜스젠더의 담론 연구: 하리수 담론의 전개와 그 의미를 중심으로

식별번호|TH-0000114

저자|이정애

발행년도|2001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논문

입수경로|수집(퀴어락)

  • 한국어
  • 퀴어락
유승희 위원장은 성평등 정책 관련 신문에서 성소수자 관련 의제의 참고인들을 거부한 이유를 해명하고

제목| 유승희 위원장은 성평등 정책 관련 신문에서 성소수자 관련 의제의 참고인들을 거부한 이유를 해명하고

설명|여성가족부가 대전시 성평등기본조례에 성소수자가 포함된 것은 법 취지에 벗어난다며 삭제를 요청한 뒤, 성소수자-여성단체 활동가와의 면담을 취소하였다. 이어 여성가족부 국정감사 참고인으로 청소년성소수자위기지원센터 정민석 대표, 민주사회를위한변호사모임 여성인권위원회 류민희 변호사 등이 출석할 예정이었지만 국회 여성가족위원회 유승희 위원장이 이를 거부하였다.…

식별번호|DB-0001088

저자|성평등 바로잡기 대응회의

발행년도|2015

출판사/발행처|성평등 바로잡기 대응회의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문서

입수경로|수집(퀴어락)

  • 한국어
  • 퀴어락
성소수자-여성단체와의 면담을 일방적으로 취소한 여성가족부 규탄 기자회견

제목| 성소수자-여성단체와의 면담을 일방적으로 취소한 여성가족부 규탄 기자회견

설명|여성가족부가 대전시 성평등기본조례에서 성소수자 항목을 삭제 요청했을 뿐만 아니라 성소수자-여성단체와의 면담도 일방 취소한데 항의하는 기자회견 보도자료다. 식순, 성명서 전문, 별첨으로 '나는 여성이 아닙니까' 여성성소수자궐기대회 행사 개요가 실려 있다. (2015.10.07)

식별번호|DB-0001087

저자|성평등 바로잡기 대응 회의

발행년도|2015

출판사/발행처|성평등 바로잡기 대응 회의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문서

입수경로|수집(퀴어락)

  • 한국어
  • 퀴어락

제목| 여성가족부 입장 및 대전광역시 성평등기본조례에 대한 개정 요청 철회를 촉구하는 시민사회단체 공동 의견서

설명|대전시 성평등기본조례 및 양성평등 개념 관련 여성가족부에 항의하고 입장 철회를 요청하기 위해 작성한 공동의견서 초안이다. (2015.09.04)

식별번호|DB-0001086

저자|성소수자차별반대 무지개행동

발행년도|2015

출판사/발행처|성소수자 차별반대 무지개행동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문서

입수경로|수집(퀴어락)

  • 한국어
  • 퀴어락
성평등'에서 성소수자 배제한 여성가족부 규탄 기자회견

제목| 성평등'에서 성소수자 배제한 여성가족부 규탄 기자회견

설명|양성평등에 성적소수자/성소수자/LGBT/퀴어는 포함되지 않는다고 해석한 여성가족부를 규탄하는 기자회견의 자료집이다. 성명서 전문과 연명 개인 및 단체가 실려 있다. (2015.08.12)

식별번호|DB-0001085

저자|성소수자 차별반대 무지개행동

발행년도|2015

출판사/발행처|성소수자 차별반대 무지개행동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문서

입수경로|수집(퀴어락)

  • 한국어
  • 퀴어락

제목| 여성가족부가 대전시에 보낸 공문 등: 진선미 의원실 요청자료

설명|여성가족부는 대전시 성평등기본조례에 LGBT/퀴어(성적소수자, 성소수자) 보호 조항이 포함되어 있음을 문제 삼으며 이를 삭제하라고 요청했다. 이에 진선미 의원실에서 여성가족부에 관련 자료를 요청했고 본 기록물은 여성가족부 여성정책과 서기관 정회진이 작성하여 제출한 문서다. 여성가족부가 대전시에 보낸 "대전광역시 성평등기본조례 개선…

식별번호|DB-0001084

저자|정회진

발행년도|2015

출판사/발행처|여성가족부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문서

입수경로|수집(퀴어락)

  • 한국어
  • 퀴어락
참여연대 논평. 서울시민인권헌장 유보가 아니라 선포해야

제목| 참여연대 논평. 서울시민인권헌장 유보가 아니라 선포해야

설명|서울시민인권헌장 관련, 참여연대가 발표한 논평이다. http://www.peoplepower21.org/PSPD/1222530 에서 확인할 수 있다.

식별번호|DB-0000754

저자|잠여연대

발행년도|2014

출판사/발행처|참여연대 정책기획팀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문서

입수경로|수집(퀴어락)

  • 한국어
  • 퀴어락
정의당 서울시당 대변인 논평. 서울시의 시민인권 포기, 깊은 실망을 느낀다

제목| 정의당 서울시당 대변인 논평. 서울시의 시민인권 포기, 깊은 실망을 느낀다

설명|서울시민인권헌장 관련, 정의당 서울시당 대변인 이기중이 대변인 논평으로 발표한 글이다. http://www.justice21.org/go/su/3190/16616 에서 확인할 수 있다.

식별번호|DB-0000753

저자|이기중(정의당 서울시당 대변인)

발행년도|2014

출판사/발행처|정의당 서울시당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문서

입수경로|수집(퀴어락)

  • 한국어
  • 퀴어락
  • 입수경로(수집)  퀴어락
  • 사용언어  한국어
검색결과 : 2081건 출력

대중문화에 나타난 스타이미지의 퀴어코드 연구: 마돈나와 레이디 가가의 스타일 중심으로

최근 세계 대중들은 공간의 장벽이 없어지고 있는데 이는 전자미디어의 발달로 모두 동일한 이미지에 노출되기 때문이며 이에 이미지가 세계문화를 동질화 시키고 있다. 최근 전자미디어의 발달로 세계 대중들은 공간의 장벽이 없어지고 있으며,…

지넷 윈터슨의 글쓰기의 정치학: [체리나무 접붙이기]에 나타난 역사, 젠더, 몸의 유희

영국의 여성 작가인 지넷 윈터슨(Jeanette Winterson, 1959- )의 작품은 항상 사랑과 그것의 다양한 형태들에 대해 이야기한다. 구체적으로 그녀는 여성의 다양한 섹슈얼리티와 이를 통제하려는 가부장제, 이성애 제도간의…

전후 시기 미국 동성애자들의 동성애 정체성 형성: 잡지 [원]의 편지들을 중심으로, 1953-1965

1950년대에 미국 사회의 호모포비아는 조직적으로 체계화, 일상화 되어 많은 동성애자들을 혼란과 공포, 슬픔, 외로움으로 몰아 넣었다. 이에 좌절했던 많은 동성애자들은 스스로의 동성애 정체성을 저주하면서 하루하루 힘겨운 삶을 이어갈…

남녀 동성애자의 내면화된 성적 낙인 척도 타당화 연구

내면화된 성적 낙인이란, 성소수자가 사회의 성소수자에 대한 편견, 부정적 태도 등을 자기(self)에게 적용하는 것을 말한다(Shidlo, 1994; Herek, 2004). 1970년대에 처음 대두된 이후, 이는 동성애자들의 정신건강 관련 연구들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해왔다. 본 연구는 동성애자의 내면화된 성적 낙인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를 마련하기 위하여 Lingiardi,…; MISS-LG)를 한국 동성애자 인구를 대상으로 타당화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총 314명이었으며 이 중 남성이 162명, 여성이 152명이었다. 설문에는 준거관련타당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유사한 구성개념을 측정하는 내면화된 동성애혐오…; IHP scale) 및 정신건강 관련 변인에 대한 측정 도구인 한국판 역학연구센터 우울척도(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Scale; CES-D), 한국판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척도(Korean Social Interaction Anxiety Scale; K-SIAS), 단축형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척도(Brief Fear of Negative Evaluation Scale; BFNE) 등이 포함되었다. 또한 선행연구를 통하여 내면화된 성적 낙인과 관계가 있다고 알려진 행동적 양상을 측정하기 위하여 차별경험질문지(The Schedule of Heterosexist Events; SHE), 성소수자 낙인의식 질문지 (The Stigma Consciousness for Gay Men and Lesbians Questionnaire; SCQ), 드러내기 척도(The Outness Inventory; OI)등이 실시되었다.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남성은 사회적 불편감 및 정체성의 2요인, 여성은 사회적 불편감, 정체성, 섹슈얼리티의 3요인 모형이 지지되었다. 남녀 모두에서 K-MISS-LG와 IHP간 높은 상관이 나타났으며…

성 소수자의 파트너링 유형과 지속: 수정된 성 각본 이론을 중심으로

본 논문은 12명의 성 소수자에 대한 심층 면접을 통하여, 성 파트너링을 분석하는 데 가장 자주 사용되는 성 각본 이론(Simon & Gagnon, 1986)의 한계를 수정 및 보완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국 성 소수자들의 파트너링…

성 소수자(LGBQ)의 자아존중감과 스트레스에 대한 연구

성소수자들도 스트레스로 인한 갈등과 여타의 심리적 문제로 정신건강 전문가를 찾을 수 있어야 하지만, 상담전문가들이 성소수자에 대한 혐오가 강하거나 이해가 부족할 경우, 심리적 부적응의 원인을 성적지향에 두고 이를 치료의 대상으로…

동성애자들의 병영생활 적응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본 연구는 동성애자로서 군에 입대한 후 병영생활에 적응하는 병사들을 대상으로 그들이 입대 전에 겪은 좌절과 고통의 경험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를 돕고, 적응 과정에서의 여러 가지 어려움과 자살 시도하기까지의 심리적 경험의 본질과 의미를…

노동하는 유령들: 동성애자의 노동 경험을 통해 본 성정체성에 따른 고용차별 연구

본 논문은 동성애자의 가시화되지 않은 고용 차별 경험을 드러내기 위한 목적으로 쓰여 졌다. 커밍아웃하지 않으면 드러나지 않는 동성애자 정체성의 특징은 다른 소수자들보다 오랫동안 비가시적 영역 안에 남아 차별 드러내기를 거의 불가능하게…

동성애 관련 뉴스 프레임 연구: 국민일보, 조선일보, 한겨레를 중심으로

이 연구는 1990년부터 2009년까지 동성애와 관련해서 국내 언론이 어떠한 보도 양상을 나타내는지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동성애와 관련된 국민일보, 한겨레, 조선일보의 신문 보도를 대상으로 시기, 기사유형, 기사논조, 1차 프레임,…

동성애 동거 커플의 '가족 실천'과 의미에 관한 연구

가족 패러다임을 둘러싼 급격한 변화와 동성애 가시화를 배경으로, 동성애 가족은 한국 사회의 다양한 가족 양태 중 하나로 점차 주목받고 있다. 본 연구는 한국 사회에서 가족을 형성하고 실천하는 동성애자들의 경험과 행위성이 그간 충분히…

1920~30년대 '변태'적 섹슈얼리티에 대한 담론연구

한국의 1920~30년대는 식민지 규율권력과 의료권력, 그리고 형성 중에 있었던 자본주의적 소비시장이 서로 교차하고 상호작용하면서 근대적 개념의 '여성', '남성', 그리고 '이성애 제도'가 새롭게 만들어지는 시기였다. 이 연구에서는…; 는 의학적 병리담론의 대상으로 포섭되었다. 이것은 ‘생식기’를 ‘남성’과 ‘여성’의 차이의 표지로 새롭게 발견해내는 과정인 동시에 이러한 차이들이 외양적 실천을 통해 ‘명백하게’ 드러나도록 강제하는 과정이기도 했다. 넷째, 이렇듯…

성소수자를 향한 한국 주류 미디어의 시선: 1990년대부터 2012년까지의 미디어 재현을 중심으로

본 연구는 1990년부터 2012년 현재까지 수많은 텔레비전 프로그램에서 동성애자, 양성애자, 트랜스젠더를 지칭하는 성적 소수자가 그려지는 모습과 방식에 주목한다. 연구자는 MBC, KBS, SBS, EBS의 지상파 방송과 케이블…

매스미디어에 나타난 트랜스젠더의 담론 연구: 하리수 담론의 전개와 그 의미를 중심으로

유승희 위원장은 성평등 정책 관련 신문에서 성소수자 관련 의제의 참고인들을 거부한 이유를 해명하고

유승희 위원장은 성평등 정책 관련 신문에서 성소수자 관련 의제의 참고인들을 거부한 이유를 해명하고

여성가족부가 대전시 성평등기본조례에 성소수자가 포함된 것은 법 취지에 벗어난다며 삭제를 요청한 뒤, 성소수자-여성단체 활동가와의 면담을 취소하였다. 이어 여성가족부 국정감사 참고인으로 청소년성소수자위기지원센터 정민석 대표,…
성소수자-여성단체와의 면담을 일방적으로 취소한 여성가족부 규탄 기자회견

성소수자-여성단체와의 면담을 일방적으로 취소한 여성가족부 규탄 기자회견

여성가족부가 대전시 성평등기본조례에서 성소수자 항목을 삭제 요청했을 뿐만 아니라 성소수자-여성단체와의 면담도 일방 취소한데 항의하는 기자회견 보도자료다. 식순, 성명서 전문, 별첨으로 '나는 여성이 아닙니까' 여성성소수자궐기대회 행사…

여성가족부 입장 및 대전광역시 성평등기본조례에 대한 개정 요청 철회를 촉구하는 시민사회단체 공동 의견서

대전시 성평등기본조례 및 양성평등 개념 관련 여성가족부에 항의하고 입장 철회를 요청하기 위해 작성한 공동의견서 초안이다. (2015.09.04)
성평등'에서 성소수자 배제한 여성가족부 규탄 기자회견

성평등'에서 성소수자 배제한 여성가족부 규탄 기자회견

양성평등에 성적소수자/성소수자/LGBT/퀴어는 포함되지 않는다고 해석한 여성가족부를 규탄하는 기자회견의 자료집이다. 성명서 전문과 연명 개인 및 단체가 실려 있다. (2015.08.12)

여성가족부가 대전시에 보낸 공문 등: 진선미 의원실 요청자료

여성가족부는 대전시 성평등기본조례에 LGBT/퀴어(성적소수자, 성소수자) 보호 조항이 포함되어 있음을 문제 삼으며 이를 삭제하라고 요청했다. 이에 진선미 의원실에서 여성가족부에 관련 자료를 요청했고 본 기록물은 여성가족부 여성정책과…
참여연대 논평. 서울시민인권헌장 유보가 아니라 선포해야

참여연대 논평. 서울시민인권헌장 유보가 아니라 선포해야

서울시민인권헌장 관련, 참여연대가 발표한 논평이다. http://www.peoplepower21.org/PSPD/1222530 에서 확인할 수 있다.
정의당 서울시당 대변인 논평. 서울시의 시민인권 포기, 깊은 실망을 느낀다

정의당 서울시당 대변인 논평. 서울시의 시민인권 포기, 깊은 실망을 느낀다

서울시민인권헌장 관련, 정의당 서울시당 대변인 이기중이 대변인 논평으로 발표한 글이다. http://www.justice21.org/go/su/3190/16616 에서 확인할 수 있다.
  • 입수경로(수집)  퀴어락
  • 사용언어  한국어
검색결과 : 2081건 출력

TH-0000127

대중문화에 나타난 스타이미지의 퀴어코드 연구: 마돈나와 레이디 가가의 스타일 중심으로

TH-0000126

지넷 윈터슨의 글쓰기의 정치학: [체리나무 접붙이기]에 나타난 역사, 젠더, 몸의 유희

TH-0000125

전후 시기 미국 동성애자들의 동성애 정체성 형성: 잡지 [원]의 편지들을 중심으로, 1953-1965

TH-0000124

남녀 동성애자의 내면화된 성적 낙인 척도 타당화 연구

TH-0000123

성 소수자의 파트너링 유형과 지속: 수정된 성 각본 이론을 중심으로

TH-0000122

성 소수자(LGBQ)의 자아존중감과 스트레스에 대한 연구

TH-0000121

동성애자들의 병영생활 적응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TH-0000119

노동하는 유령들: 동성애자의 노동 경험을 통해 본 성정체성에 따른 고용차별 연구

TH-0000118

동성애 관련 뉴스 프레임 연구: 국민일보, 조선일보, 한겨레를 중심으로

TH-0000117

동성애 동거 커플의 '가족 실천'과 의미에 관한 연구

TH-0000116

1920~30년대 '변태'적 섹슈얼리티에 대한 담론연구

TH-0000115

성소수자를 향한 한국 주류 미디어의 시선: 1990년대부터 2012년까지의 미디어 재현을 중심으로

TH-0000114

매스미디어에 나타난 트랜스젠더의 담론 연구: 하리수 담론의 전개와 그 의미를 중심으로

DB-0001088

유승희 위원장은 성평등 정책 관련 신문에서 성소수자 관련 의제의 참고인들을 거부한 이유를 해명하고

DB-0001087

성소수자-여성단체와의 면담을 일방적으로 취소한 여성가족부 규탄 기자회견

DB-0001086

여성가족부 입장 및 대전광역시 성평등기본조례에 대한 개정 요청 철회를 촉구하는 시민사회단체 공동 의견서

DB-0001085

성평등'에서 성소수자 배제한 여성가족부 규탄 기자회견

DB-0001084

여성가족부가 대전시에 보낸 공문 등: 진선미 의원실 요청자료

DB-0000754

참여연대 논평. 서울시민인권헌장 유보가 아니라 선포해야

DB-0000753

정의당 서울시당 대변인 논평. 서울시의 시민인권 포기, 깊은 실망을 느낀다
  • 입수경로(수집)  퀴어락
  • 사용언어  한국어
검색결과 : 2081건 출력

제목| 대중문화에 나타난 스타이미지의 퀴어코드 연구: 마돈나와 레이디 가가의 스타일 중심으로

설명|최근 세계 대중들은 공간의 장벽이 없어지고 있는데 이는 전자미디어의 발달로 모두 동일한 이미지에 노출되기 때문이며 이에 이미지가 세계문화를 동질화 시키고 있다. 최근 전자미디어의 발달로 세계 대중들은 공간의 장벽이 없어지고 있으며, 동일한 이미지에 노출되어 세계문화의 동질화가 진행되고 있다. 이에 전자미디어에 살아있는 정보전달 및 문화전파의 매개체 역할을…

식별번호|TH-0000127

저자|박영진

발행년도|2014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논문

입수경로|수집(퀴어락)

  • 한국어
  • 퀴어락

제목| 지넷 윈터슨의 글쓰기의 정치학: [체리나무 접붙이기]에 나타난 역사, 젠더, 몸의 유희

설명|영국의 여성 작가인 지넷 윈터슨(Jeanette Winterson, 1959- )의 작품은 항상 사랑과 그것의 다양한 형태들에 대해 이야기한다. 구체적으로 그녀는 여성의 다양한 섹슈얼리티와 이를 통제하려는 가부장제, 이성애 제도간의 관계를 탐구하고, 이들이 부여하는 억압적 젠더 규범으로부터 효과적으로 탈출할 수 있는 역사적, 문학적, 문화적 장치들을…

식별번호|TH-0000126

저자|박남순

발행년도|2004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논문

입수경로|수집(퀴어락)

  • 한국어
  • 퀴어락

제목| 전후 시기 미국 동성애자들의 동성애 정체성 형성: 잡지 [원]의 편지들을 중심으로, 1953-1965

설명|1950년대에 미국 사회의 호모포비아는 조직적으로 체계화, 일상화 되어 많은 동성애자들을 혼란과 공포, 슬픔, 외로움으로 몰아 넣었다. 이에 좌절했던 많은 동성애자들은 스스로의 동성애 정체성을 저주하면서 하루하루 힘겨운 삶을 이어갈 수 밖에 없었다. 본 연구는 1950-60년대의 이 슬픈 게이들이 어떻게 자신들의 동성애 정체성을 받아들여 1950년대와…

식별번호|TH-0000125

저자|문동성

발행년도|2012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논문

입수경로|수집(퀴어락)

  • 한국어
  • 퀴어락

제목| 남녀 동성애자의 내면화된 성적 낙인 척도 타당화 연구

설명|내면화된 성적 낙인이란, 성소수자가 사회의 성소수자에 대한 편견, 부정적 태도 등을 자기(self)에게 적용하는 것을 말한다(Shidlo, 1994; Herek, 2004). 1970년대에 처음 대두된 이후, 이는 동성애자들의 정신건강 관련 연구들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해왔다. 본 연구는 동성애자의 내면화된 성적 낙인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를 마련하기 위하여 Lingiardi, Baiocco, & Nardelli(2012)가 개발한 내면화된 성적 낙인 척도(Measure of Internalized…; MISS-LG)를 한국 동성애자 인구를 대상으로 타당화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총 314명이었으며 이 중 남성이 162명, 여성이 152명이었다. 설문에는 준거관련타당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유사한 구성개념을 측정하는 내면화된 동성애혐오 척도(Internalized Homophobia Scale; IHP scale) 및 정신건강 관련 변인에 대한 측정 도구인 한국판 역학연구센터 우울척도(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Scale; CES-D), 한국판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척도(Korean Social Interaction Anxiety Scale; K-SIAS), 단축형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척도(Brief Fear of Negative Evaluation Scale; BFNE) 등이 포함되었다. 또한 선행연구를 통하여 내면화된 성적 낙인과 관계가 있다고 알려진 행동적 양상을 측정하기 위하여 차별경험질문지(The Schedule of Heterosexist Events; SHE), 성소수자 낙인의식 질문지 (The Stigma Consciousness for Gay Men and Lesbians Questionnaire; SCQ), 드러내기 척도(The Outness Inventory; OI)등이 실시되었다.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남성은 사회적 불편감 및 정체성의 2요인, 여성은 사회적 불편감, 정체성, 섹슈얼리티의 3요인 모형이 지지되었다. 남녀 모두에서 K-MISS-LG와 IHP간 높은 상관이 나타났으며 K-MISS-LG와 우울, 사회불안 등 정신건강 관련 변인과의 상관 또한 확인되었다. 또한 내면화된 성적 낙인과 낙인의식 사이에는…

식별번호|TH-0000124

저자|임민경

발행년도|2014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논문

입수경로|수집(퀴어락)

  • 한국어
  • 퀴어락

제목| 성 소수자의 파트너링 유형과 지속: 수정된 성 각본 이론을 중심으로

설명|본 논문은 12명의 성 소수자에 대한 심층 면접을 통하여, 성 파트너링을 분석하는 데 가장 자주 사용되는 성 각본 이론(Simon & Gagnon, 1986)의 한계를 수정 및 보완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국 성 소수자들의 파트너링 양상을 설명한다. 성 각본이론은 하나의 성 행동이 설명되는 데 있어 사회 전체수준에서 정의되는 ‘문화적 시나리오’, 파트너 간의…

식별번호|TH-0000123

저자|주영준

발행년도|2011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논문

입수경로|수집(퀴어락)

  • 한국어
  • 퀴어락

제목| 성 소수자(LGBQ)의 자아존중감과 스트레스에 대한 연구

설명|성소수자들도 스트레스로 인한 갈등과 여타의 심리적 문제로 정신건강 전문가를 찾을 수 있어야 하지만, 상담전문가들이 성소수자에 대한 혐오가 강하거나 이해가 부족할 경우, 심리적 부적응의 원인을 성적지향에 두고 이를 치료의 대상으로 지각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은 성소수자들이 자신의 성적 지향성을 자기 정체감을 통합하는 것을 방해하며, 심리적 고통을 증가시키게…

식별번호|TH-0000122

저자|허지선

발행년도|2015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논문

입수경로|수집(퀴어락)

  • 한국어
  • 퀴어락

제목| 동성애자들의 병영생활 적응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설명|본 연구는 동성애자로서 군에 입대한 후 병영생활에 적응하는 병사들을 대상으로 그들이 입대 전에 겪은 좌절과 고통의 경험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를 돕고, 적응 과정에서의 여러 가지 어려움과 자살 시도하기까지의 심리적 경험의 본질과 의미를 이해하는 데 목적을 가졌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심층면담을 실시하였으며 연구자들의 진술들을 분석하기 위한 절차로…

식별번호|TH-0000121

저자|허경운

발행년도|2014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논문

입수경로|수집(퀴어락)

주제|군대

  • 한국어
  • 퀴어락

제목| 노동하는 유령들: 동성애자의 노동 경험을 통해 본 성정체성에 따른 고용차별 연구

설명|본 논문은 동성애자의 가시화되지 않은 고용 차별 경험을 드러내기 위한 목적으로 쓰여 졌다. 커밍아웃하지 않으면 드러나지 않는 동성애자 정체성의 특징은 다른 소수자들보다 오랫동안 비가시적 영역 안에 남아 차별 드러내기를 거의 불가능하게 만들었다. 동성애자의 권리 등을 규정하는 그 어떤 법도 존재하지 않는다는 사실은 동성애자의 사회적 실체가 없으며 차별 또한…

식별번호|TH-0000119

저자|곽이경

발행년도|2011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논문

입수경로|수집(퀴어락)

  • 한국어
  • 퀴어락

제목| 동성애 관련 뉴스 프레임 연구: 국민일보, 조선일보, 한겨레를 중심으로

설명|이 연구는 1990년부터 2009년까지 동성애와 관련해서 국내 언론이 어떠한 보도 양상을 나타내는지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동성애와 관련된 국민일보, 한겨레, 조선일보의 신문 보도를 대상으로 시기, 기사유형, 기사논조, 1차 프레임, 2차 프레임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 기사 수(보도량)는 519건으로 1시기에 비해…

식별번호|TH-0000118

저자|한윤화

발행년도|2013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논문

입수경로|수집(퀴어락)

  • 한국어
  • 퀴어락

제목| 동성애 동거 커플의 '가족 실천'과 의미에 관한 연구

설명|가족 패러다임을 둘러싼 급격한 변화와 동성애 가시화를 배경으로, 동성애 가족은 한국 사회의 다양한 가족 양태 중 하나로 점차 주목받고 있다. 본 연구는 한국 사회에서 가족을 형성하고 실천하는 동성애자들의 경험과 행위성이 그간 충분히 드러나고 해석되지 않았다는 문제의식을 가지고, 동성애 동거 커플의 생애서사와 가족실천을 중심으로 이들이 이성애주의 사회의…

식별번호|TH-0000117

저자|한빛나

발행년도|2014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논문

입수경로|수집(퀴어락)

주제|가족구성권

  • 한국어
  • 퀴어락

제목| 1920~30년대 '변태'적 섹슈얼리티에 대한 담론연구

설명|한국의 1920~30년대는 식민지 규율권력과 의료권력, 그리고 형성 중에 있었던 자본주의적 소비시장이 서로 교차하고 상호작용하면서 근대적 개념의 '여성', '남성', 그리고 '이성애 제도'가 새롭게 만들어지는 시기였다. 이 연구에서는 당시에 '규범적 이성애'담론의 외연을 구성하였던 전형적인 인물들인 변태성욕자, 양성구유인, ‘이성복장자’, 여성…; 는 의학적 병리담론의 대상으로 포섭되었다. 이것은 ‘생식기’를 ‘남성’과 ‘여성’의 차이의 표지로 새롭게 발견해내는 과정인 동시에 이러한 차이들이 외양적 실천을 통해 ‘명백하게’ 드러나도록 강제하는 과정이기도 했다. 넷째, 이렇듯 전통적인 집단들이 새롭게 의미화되어 의학담론 안에 포섭되는 현상의 배후에는 남성과 여성간의 돌이킬 수 없는 성차를 발견하고자…

식별번호|TH-0000116

저자|차민정

발행년도|2009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논문

입수경로|수집(퀴어락)

주제|인터섹스

  • 한국어
  • 퀴어락

제목| 성소수자를 향한 한국 주류 미디어의 시선: 1990년대부터 2012년까지의 미디어 재현을 중심으로

설명|본 연구는 1990년부터 2012년 현재까지 수많은 텔레비전 프로그램에서 동성애자, 양성애자, 트랜스젠더를 지칭하는 성적 소수자가 그려지는 모습과 방식에 주목한다. 연구자는 MBC, KBS, SBS, EBS의 지상파 방송과 케이블 방송이 텔레비전 매체를 통해 방영하는 프로그램들을 성적 소수자가 자발적으로 생산해내는 퀴어 미디어의 반대 개념인 주류 미디어로…

식별번호|TH-0000115

저자|이진

발행년도|2013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논문

입수경로|수집(퀴어락)

주제|트랜스젠더퀴어; 양성애

  • 한국어
  • 퀴어락

제목| 매스미디어에 나타난 트랜스젠더의 담론 연구: 하리수 담론의 전개와 그 의미를 중심으로

식별번호|TH-0000114

저자|이정애

발행년도|2001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논문

입수경로|수집(퀴어락)

  • 한국어
  • 퀴어락

제목| 유승희 위원장은 성평등 정책 관련 신문에서 성소수자 관련 의제의 참고인들을 거부한 이유를 해명하고

설명|여성가족부가 대전시 성평등기본조례에 성소수자가 포함된 것은 법 취지에 벗어난다며 삭제를 요청한 뒤, 성소수자-여성단체 활동가와의 면담을 취소하였다. 이어 여성가족부 국정감사 참고인으로 청소년성소수자위기지원센터 정민석 대표, 민주사회를위한변호사모임 여성인권위원회 류민희 변호사 등이 출석할 예정이었지만 국회 여성가족위원회 유승희 위원장이 이를 거부하였다.…

식별번호|DB-0001088

저자|성평등 바로잡기 대응회의

발행년도|2015

출판사/발행처|성평등 바로잡기 대응회의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문서

입수경로|수집(퀴어락)

  • 한국어
  • 퀴어락

제목| 성소수자-여성단체와의 면담을 일방적으로 취소한 여성가족부 규탄 기자회견

설명|여성가족부가 대전시 성평등기본조례에서 성소수자 항목을 삭제 요청했을 뿐만 아니라 성소수자-여성단체와의 면담도 일방 취소한데 항의하는 기자회견 보도자료다. 식순, 성명서 전문, 별첨으로 '나는 여성이 아닙니까' 여성성소수자궐기대회 행사 개요가 실려 있다. (2015.10.07)

식별번호|DB-0001087

저자|성평등 바로잡기 대응 회의

발행년도|2015

출판사/발행처|성평등 바로잡기 대응 회의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문서

입수경로|수집(퀴어락)

  • 한국어
  • 퀴어락

제목| 여성가족부 입장 및 대전광역시 성평등기본조례에 대한 개정 요청 철회를 촉구하는 시민사회단체 공동 의견서

설명|대전시 성평등기본조례 및 양성평등 개념 관련 여성가족부에 항의하고 입장 철회를 요청하기 위해 작성한 공동의견서 초안이다. (2015.09.04)

식별번호|DB-0001086

저자|성소수자차별반대 무지개행동

발행년도|2015

출판사/발행처|성소수자 차별반대 무지개행동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문서

입수경로|수집(퀴어락)

  • 한국어
  • 퀴어락

제목| 성평등'에서 성소수자 배제한 여성가족부 규탄 기자회견

설명|양성평등에 성적소수자/성소수자/LGBT/퀴어는 포함되지 않는다고 해석한 여성가족부를 규탄하는 기자회견의 자료집이다. 성명서 전문과 연명 개인 및 단체가 실려 있다. (2015.08.12)

식별번호|DB-0001085

저자|성소수자 차별반대 무지개행동

발행년도|2015

출판사/발행처|성소수자 차별반대 무지개행동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문서

입수경로|수집(퀴어락)

  • 한국어
  • 퀴어락

제목| 여성가족부가 대전시에 보낸 공문 등: 진선미 의원실 요청자료

설명|여성가족부는 대전시 성평등기본조례에 LGBT/퀴어(성적소수자, 성소수자) 보호 조항이 포함되어 있음을 문제 삼으며 이를 삭제하라고 요청했다. 이에 진선미 의원실에서 여성가족부에 관련 자료를 요청했고 본 기록물은 여성가족부 여성정책과 서기관 정회진이 작성하여 제출한 문서다. 여성가족부가 대전시에 보낸 "대전광역시 성평등기본조례 개선…

식별번호|DB-0001084

저자|정회진

발행년도|2015

출판사/발행처|여성가족부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문서

입수경로|수집(퀴어락)

  • 한국어
  • 퀴어락

제목| 참여연대 논평. 서울시민인권헌장 유보가 아니라 선포해야

설명|서울시민인권헌장 관련, 참여연대가 발표한 논평이다. http://www.peoplepower21.org/PSPD/1222530 에서 확인할 수 있다.

식별번호|DB-0000754

저자|잠여연대

발행년도|2014

출판사/발행처|참여연대 정책기획팀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문서

입수경로|수집(퀴어락)

  • 한국어
  • 퀴어락

제목| 정의당 서울시당 대변인 논평. 서울시의 시민인권 포기, 깊은 실망을 느낀다

설명|서울시민인권헌장 관련, 정의당 서울시당 대변인 이기중이 대변인 논평으로 발표한 글이다. http://www.justice21.org/go/su/3190/16616 에서 확인할 수 있다.

식별번호|DB-0000753

저자|이기중(정의당 서울시당 대변인)

발행년도|2014

출판사/발행처|정의당 서울시당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문서

입수경로|수집(퀴어락)

  • 한국어
  • 퀴어락